두드림 통장과 내지갑 통장 비교
아무래도 저도 일반 직장인이다보니 일과 시간을 피할 수 있는 은행을 찾아보다가
앞서 포스팅한 직장인을 위한 이마트 SC은행 지점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C은행에서 만들 통장을 찾아보았습니다.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좌는 KDB 산업은행 다이렉트 통장과 전북은행 다이렉트 통장입니다.
그 이유는 다른 일반 입출금 통장들이 0.01%같이 거의 없다시피하는 금리를 주는 것과 달리
위의 통장들은 CMA같이 매일 이자가 붙을뿐만 아니라 오늘 현재1.35%와 1.2%의 비교적 높은 이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 수시입출금 계좌는 산업은행과 전북은행 다이렉트를 기준으로
고정지출은 필요한 지출일자에 맞춰 해당 금액이 출금되는 통장으로 자동이체되도록 해놓았습니다.
(CMA 계좌에 우대이율을 받기 위함인데, 예를 들어 현대증권 RP CMA에 자동이체 5건을 맞춰놓으면 500만원까지 3.3%의 이율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위와같은 상황에서 저는 자동이체 수수료 무료 혜택이 가장 필요합니다.
거기에 통장을 용도에 맞춰 쪼개다보니 자동이체 수수료가 무료인 통장은 많으면 많을 수록 앞을 대비하기가 좋겠죠.
또한 산업은행은 모든 ATM에서 출금 수수료가 무료이기 때문에 저는 은행 ATM을 찾지않고 그냥 편의점 ATM에서 출금해버립니다.
(그런데 모든 ATM에서 수수료가 무료라고 하는데 어쩌다 한버씩 붙는거 같습니다. 왜인지는 귀찮아서 찾아보지 않았고 그냥 편의점으로 가버립니다.)
반대로 전북은행은 모든 ATM에서 입금 수수료가 무료라고하는데 솔직히 요즘은 현금을 잘들고 다니지 않아서 아직 입금기능을 써보지는 않았습니다.
(전북은행 다이렉트는 안타깝지만 어제부로 발급이 중단되었습니다.)
여하튼 저는 자유입출금 통장인데 이자가 높거나 수수료가 무료인 통장을 아주 선호합니다.
게다가 이런 혜택들을 무실적으로 제공한다면 없어지기 전에 만들어야죠.
이제 설명드릴 통장은 이러한 범주에 들어가는 것들이고 이번 주말에 이마트에가서 개설할 요량으로 찾아본 것들입니다.
|
두드림 통장 |
먼저 두드림 통장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다이렉트 통장보다는 낮므면서 기간에 따라 이율이 결정되는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무실적 ATM 및 인터넷뱅킹 수수료가 무료이기 때문에 탐나는 녀석입니다.
제게는 이자때문에 사용는 통장이 되지 않겠지만 이자가 붙는 방식을 살펴보면
입금한 돈이 만 30일 이상 통장에 있어야 우대금리가 붙으며 선입선출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예를들어 4월 1일에 100만원을 입급하였고 오늘이 5월 31일이라고 한다면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는 100만원에 대한 0.1%의 이자가 계산되고 (세금 계산은 귀찮으니 1천원)
그 후인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는 0.9%의 이자가 계산되어 (세금 계산은 귀찮으니 9천원) 총 1만원의 이자가 붙습니다.
여기서 선입선출 방식은 제가 출금을 하게되면 제일 먼저 들어왔던 돈을 출금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들어 4월 1일에 100만원을 입금하고 4월 15일에 다시 100만원을 입금하였고 5월 1일에 100만원을 출금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5월 1일을 기준으로 보면 4월 1일에 넣은 돈은 30일이 넘었기 때문에 앞으로 우대이율이 적용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5월 1일에 인출한 100만원은 먼저 입금된 (선입) 100만원이 우선 출금 (선출)되어버려
우대이율은 4월 15일에 입금한 100만원이 31일째가 되는 5월 15일부터 적용되게 됩니다.
기간을 기준으로 우대이율이 적용되는 방식에서는 후입선출 방식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두드림은 선입선출입니다.
| 내지갑 통장 |
이번에 설명드릴 내지갑 통장은 두 종류의 조건이 붙어 약간 귀찮습니다만
1가지 조건만 만족시켜 50만원부터 200만원 사이의 금액에 대하여 비교적 2.4%의 이율을 챙기는 것으로 괜찮을 것 같습니다.
SC카드를 사용하시는 분은 조건2도 만족시켜 3.1%의 이율을 받으실 수도 있겠지만
저는 국민카드 굴비가 주력이라 만약 이 통장을 개설하면 여유자금 200까지만 넣어둘 것 같습니다.
일단 1차 우대이율을 받는 조건 1은 급여이체 또는 70만원 이상의 입금인데
급여이체 다른 계좌로 해서 혜택받고 여기에는 70만원을 입금해서 실적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장 간편할 것 같습니다.
물론 입금된 70만원은 다시 이율이 좋은 곳으로 출금하는 것을 잊어버리면 안되겠지요.
조건 2는 카드를 사용하거나 자동이체 실적을 만족해야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더 나은 우대이율을 주는 쪽으로 자동이체 실적을 사용할 것 같습니다.
| 두드림 & 내지갑 통장 사용 |
아래는 제가 활용하는 계좌들을 기준으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분은 여러분의 계좌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 기준으로는 다이렉트 통장과 더 높은 이율을 주는 CMA들이 있기 때문에
두드림 통장은 ATM과 인터넷뱅킹 수수료 무료 혜택을 위한 서브 통장으로 사용하고
내지갑 통장은 더 높은 우대이율을 주는 계좌의 한도를 채운 후 50만원 이상 200만원 이하의 여유자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것 같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실적 수수료 면제 계좌 통장 (1) | 2016.03.09 |
---|---|
은행별 계좌이동제 혜택 (0) | 2016.03.03 |
2016년 3월 고금리 수시입출금 통장, CMA (0) | 2016.02.29 |
은행별 통장사본 인터넷 출력 (0) | 2016.02.22 |
직장인을 위한 이마트 SC은행 지점 리스트 (0) | 2016.02.18 |